
환경위생관리자는 학교나 다른 공공기관에서 환경 및 위생 관련 문제를 관리하고 해결하는 역할을 맡는 사람을 말해. 이들은 학교 시설물의 청결 유지, 환경 안전 기준 준수, 그리고 학생들과 교직원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해. 필요한 경우에는 환경 보호 및 재활용 계획도 관리하거든.
학교 환경위생관리자는 학교 내 환경위생을 체계적으로 유지·관리하기 위해 법적으로 지정되어야 하는 역할입니다. 이는 학생과 교직원의 건강을 보호하고 쾌적한 학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입니다.
지정 이유:
대한민국의 「학교보건법 시행규칙」 제3조의3에 따르면, 학교의 장은 교사(校舍) 내 환경위생을 유지·관리하기 위해 소속 교직원 중에서 환경위생관리자를 지정해야 합니다. 이러한 지정은 학교 환경의 청결과 안전을 확보하여 학생들의 건강을 보호하고, 학습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법적 의무입니다.
환경위생관리자의 주요 업무:
- 실내 공기질 관리: 교실 및 기타 실내 공간의 공기질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, 필요 시 환기 및 공기 정화 조치를 시행합니다.
- 석면 관리: 학교 건물 내 석면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, 석면건축물안전관리인으로서 관련 법규에 따른 안전 관리를 수행합니다.
- 소음 방지: 학교 주변 및 내부의 소음원을 파악하고, 학생들의 학습 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조치를 취합니다.
- 환경위생정화구역 관리: 학교 주변의 환경위생정화구역을 설정하고, 해당 구역 내 유해 시설물의 설치를 방지합니다.
필수 교육:
환경위생관리자로 지정된 교직원은 관련 업무 수행을 위해 전문 교육을 이수해야 합니다. 예를 들어, 석면건축물안전관리인으로서 신규 교육은 최초 지정 또는 변경 신고 후 3개월 이내에 8시간 이상 이수해야 하며, 이후 2년마다 4시간 이상의 보수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. 또한, 학교 환경위생관리자의 직무 역량 강화를 위해 원격 연수나 특별 연수 등이 실시되며, 이는 각 시·도 교육청의 지침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
#학교환경위생관리자
#환경위생관리자
#위생관리자
#위생관리자선임
#위생관리자선임자격
'업무자료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학교 미세먼지 담당자? (0) | 2025.03.19 |
---|---|
장애인 근로지원인의 역활 및 자격 교육방법 (0) | 2025.02.26 |
장애인직업생활상담원 역활 및 활동자격 (0) | 2025.02.26 |
중증장애인 지원고용 직무지도원 역할 및 자격 (0) | 2025.02.26 |
건설현장 신호수 자격요건 및 배치기준 (0) | 2025.02.26 |
댓글